쉽게 읽는 Web3
블록체인 layer3도 쉽게 설명해보자.
벨라아빠
2024. 11. 27. 16:06
Layer 3란?
- L3는 L2 위에 또 하나의 추가 레이어를 만드는 개념이야.
- L3의 목적: 특정한 사용 사례(Use Case)에 맞춘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함이야.
예를 들어:- 게임, 메타버스, 디파이(DeFi) 같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네트워크.
- **개인 정보 보호(Privacy)**를 더 강화하거나, 특수 기능을 추가하는 레이어.
L1, L2, L3를 쉽게 설명하기 - "쇼핑몰" 비유
- L1 (쇼핑몰의 메인 로드):
모든 상점(트랜잭션)이 있는 큰 길. 여기서 모든 사람이 쇼핑을 하고 계산을 해.
→ 혼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어. - L2 (쇼핑몰 내 "패스트 트랙" 도로):
사람들이 패스트 트랙을 사용해 특정 구역으로 빠르게 이동한 뒤, 한꺼번에 계산을 해.
→ 더 빠르고 효율적이지. - L3 (전용 VIP 라운지):
쇼핑몰 내에서 특정 사용자(예: VIP)를 위한 맞춤형 공간이야.- 여기선 특별한 서비스(개인 상담, 프라이빗 거래)가 제공돼.
- 일반 사람들(L1, L2)과 직접적으로 경쟁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운영돼.
L3의 사용 사례
- 앱 전용 네트워크
- 특정 애플리케이션(예: NFT 마켓플레이스, 블록체인 게임)을 위한 개별 체인 역할.
- 예: 한 블록체인 게임이 자체 L3를 만들어 트랜잭션을 관리하고, 결과만 L2에 올릴 수 있어.
- 개인 정보 보호 강화
- L3는 특정 트랜잭션의 프라이버시를 높이는 데 사용될 수 있어.
- 예: 사용자가 자신의 거래를 다른 사람에게 숨기고 싶을 때.
- 커뮤니티 체인
- 커뮤니티나 기업이 자신들만의 생태계를 구축할 때 사용.
- 예: DAO(탈중앙화 자율조직)가 독립적인 L3를 만들어 자체 트랜잭션을 관리.
L3와 L2의 차이점
- L2: 확장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일반적인 트랜잭션 처리를 최적화하는 레이어.
- L3: 특정 사용 사례에 맞춰 커스터마이징된 기능이나 개별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레이어.
현재 L3의 예
- 아직 명확한 표준은 없지만, 일부 프로젝트가 L3 개념을 실험 중이야.
예를 들어:- Arbitrum Orbit: 개발자가 자체 L3 체인을 쉽게 구축할 수 있게 지원.
- StarkEx: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Layer 3를 논의 중.
결론적으로, L3는 아직 초기 단계지만, 특정한 문제를 해결하거나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앞으로 더 많이 활용될 가능성이 있어.
현재 Layer 3 (L3) 코인은 Layer 1, Layer 2만큼 확립된 상태는 아니야. L3는 주로 특정 애플리케이션이나 맞춤형 생태계를 위해 설계된 개념이라, 명확하게 "L3 코인"이라고 불리는 사례는 드물어. 하지만 L3에 가까운 역할을 하는 프로젝트나 플랫폼 기반 코인들이 있어. 정리해줄게!
Layer 3 역할에 가까운 코인들
- Arbitrum Orbit (아비트럼 생태계 기반)
- Arbitrum은 L2로 시작했지만, L3 레이어를 구축할 수 있는 Orbit 프레임워크를 제공해.
- Orbit으로 생성된 맞춤형 체인(앱 전용 L3)이 등장할 가능성이 높아.
- 관련 코인: ARB (아비트럼 토큰)
- StarkNet & StarkEx
- StarkNet은 L2지만, StarkEx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독립적인 L3 솔루션으로 활용될 수 있어.
- StarkEx 기반 앱이 확장되면 독립적인 생태계가 만들어질 가능성이 있어.
- 관련 코인: 아직 토큰 발행 X (StarkNet 기반 프로젝트 코인으로 zkSync나 IMX가 포함됨).
- zkSync Era
- zkSync는 L2로 시작했지만, 자체적으로 L3 개념을 포함해 확장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어.
- 특정 앱에 특화된 독립적인 체인이 zkSync 위에 생성될 가능성이 있어.
- 관련 코인: zkSync 자체 토큰은 아직 없지만, 생태계 코인들은 예시로 들어.
- 예: Mute.io (MUTE), SpaceFi (SPACE)
- Immutable X (IMX)
- Immutable X는 NFT와 게임 애플리케이션에 특화된 L2지만, 독립적인 게임 프로젝트를 위해 L3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아.
- 관련 코인: IMX
- Avalanche Subnets
- Avalanche의 서브넷(Subnet)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독립 네트워크를 제공하는데, 이게 L3의 역할에 가깝다고 볼 수 있어.
- 관련 코인: AVAX
L3로 발전 가능성이 있는 프로젝트들
아직 L3가 표준화되진 않았지만, L3 개념에 맞는 커스터마이징 플랫폼이나 앱 전용 체인을 운영할 가능성이 있는 코인들:
- Celestia (TIA)
- Celestia는 모듈형 블록체인으로, 앱 전용 체인을 쉽게 만들 수 있도록 설계돼.
- 이는 L3의 요구에 맞는 기능을 제공.
- Cosmos (ATOM)
- Cosmos는 각 블록체인이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된 인터체인 플랫폼이야.
- 특정 애플리케이션 전용 체인을 생성하기에 적합.
- MetisDAO (METIS)
- Optimistic Rollup 기반으로 시작했지만, DAO 및 dApp 전용 맞춤형 체인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발전 중.
- Boba Network (BOBA)
- L2 기반이지만, 고유한 dApp 및 게임 체인 생성을 지원할 가능성이 있어.
정리
- L3 코인 자체는 아직 초기 단계지만, L2 기반 생태계 코인들이 L3로 발전할 가능성이 많아.
- 주목할 만한 코인들:
- Arbitrum (ARB)
- zkSync 생태계 코인 (Mute.io, SpaceFi 등)
- Immutable X (IMX)
- Celestia (TIA)
- Avalanche (AVAX)
L3의 개념이 구체화되면서 더 많은 코인과 프로젝트가 등장할 거야.